발바닥 통증을 유발하는 족저근막염이란? 증상 및 치료방법

728x90

발은 신체를 지탱하고 하중을 받으면서 피로가 많이 쌓이는 부위 중 하나입니다. 종종 발바닥에 찌르는 듯한 통증이나 욱신거리는 느낌을 받을 받았을 때 족저근막염을 의심해 볼 수 있는데, 족저근막염에 대해 알아보고 발 건강을 챙겨 보도록 하겠습니다.

 

 

족저근막염
족저근막염

 

 

족저근막염이란?

족저근막염은 발바닥의 뒤꿈치뼈에서 시작하여 발가락 관절 끝으로 연결돼 있는 족저근막이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근막이 손상되고 염증이 생겨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족저근막염원인
족저근막염원인

 

 

평상시 운동을 하지 않던 사람이 산책이나 등산, 러닝 등 갑자기 운동을 하게 되면 족저근막에 지속적인 압박이 가해져 발바닥 통증이 발생됩니다.

 

쿠션감이 없는 딱딱한 신발, 구두나 하이힐 등의 신발을 장기간 신고 활동하게 되면 족저근막염이 생기는 경우가 많고, 평발이나, 심한 아치형 형태의 발바닥을 가진 사람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발바닥은 신체 하중을 버텨야 하기 때문에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람은 발바닥에 압박이 가해져 비만이나 과체중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종종 발목이나 무릎 관절염을 앓고 있거나 아킬레스건에 문제가 있는 경우 족저근막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 증상

족저근막염 증상은 뒤꿈치나 발바닥 부근의 날카로운 통증이나 욱신거림, 뻣뻣하고 불편감이 느껴지고 발바닥에 하중이 실리게 되면 통증이 생깁니다.

 

보통 자고 일어났을 때나 푹 쉬고 움직일 때 통증이 심하게 느껴지고, 일정시간 동안 움직이거나 활동을 했을 때 일시적으로 통증이 완화 됐다고 느낄 수 있으며 족저근막염을 악화시키곤 합니다.

 

발바닥을 누르게 되면 압통이 느껴지게 되고, 점진적으로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으며, 한쪽 발에서만 증상이 나타 날 수 있고, 양쪽발에서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증상
족저근막염증상

 

 

족저근막염 진단

족저근막염은 증상이 생기게 된 원인을 전문가의 병력 청취를 통해 신체적 활동이나 건강상태 등을 파악하고 발바닥을 촉진하여 압통이 느끼시는지 확인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발목과 발가락을 움직이게 하여 발바닥의 족저근막의 수축, 이완 스트레칭을 통해 통증을 유발하는지 확인하여 족저근막염을 파악합니다.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된 것이 아니라 관절염, 아킬레스건, 골절 등의 질병과 주변 조직의 손상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영상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치료
족저근막염치료

 

 

족저근막염 치료

족저근막염의 초기에는 운동이나 신체적 활동, 발바닥에 스트레스를 줄 수 있는 행동을 자제하고 휴식을 취하게 되면 증상이 점차 완화가 될 수 있습니다.

 

불편한 신발을 자제하고 쿠션감이 좋은 신발이나 맞춤형 신발을 통해 족저근막염을 완화할 수 있고, 테이핑 요법이나 충격을 줄여 줄 수 있는 보조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칭이나 물리치료를 통해 족저근막의 힘과 유연성을 늘려 줄 수 있고, 체외 충격파 치료 등을 이용하여 족저근막의 치유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치료 노력에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을 경우, 전문가의 판단을 통해 외과적인 족저근막염 수술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 예방

갑작스럽게 높은 강도의 운동을 피하고 운동량을 점진적으로 늘려가야 하며, 운동 전 적절한 스트레칭을 통해 족저근막에 부담을 줄여 주어 주고, 쿠션감이 있는 신발을 신어야 합니다.

 

장시간 서있거나 활동량이 많을 경우 충분한 휴식을 통해 발바닥의 스트레스를 풀어주고, 체중을 조절하여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야 합니다.

 

발바닥의 부담을 줄여 줄 수 있는 깔창이나 보조기 등을 통하여 족저근막염 증상 완화 및 예방하고, 냉찜질이나 마사지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