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가락,손목 저린증상을 유발하는 척골신경증후군 원인 및 증상 치료
- 건강,일상정보생생
- 2023. 4. 24.
검색
척골신경증후군은 상완에서부터 팔꿈치를 통해 손목, 4~5번째 손가락까지 이어지는 신경으로 척골신경이 압박되거나 염증, 손상 등의 이유로 감각이상이나 통증, 움직임이 제한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척골신경증후군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척골신경증후군이 발생되는 원인
요새 들어 척골신경증후군이 발생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는데 보통 신경이 압박되어 증상이 생기며 책상 앞에서 컴퓨터를 사용할 때 손목을 장기간 대고 있어 압박이 가해진다던가 딱딱한 곳에 팔꿈치를 대거나 팔꿈치나 손목이 눌린 상태로 잠을 취하는 자세 등의 이유가 원인이 됩니다.
종종 손목, 팔꿈치의 가동범위 이상의 움직임이나 과도한 운동, 반복적인 사용, 골절이나 타박상 등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척골신경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척골신경증후군 증상
척골신경증후군 증상이 발생되면 보통 4~5번째 손가락과 손날, 손목 부위의 뻣뻣함과 저린 증상, 감각이상 등을 느끼고 밤이나 손목을 오래 사용한 뒤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가락과 손목부위의 근육이 약화되어 평소 움직임의 어려움이 생길 수 있고, 주먹을 쥐거나 펴는 행동에 힘이 들어가지 않아 불편함을 느끼는 척골신경증후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척골신경증후군 진단
척골신경증후군을 진단할 때 손목이나 팔꿈치가 압박되는 행동이나 외상등이 있는지 확인하고 현재 증상의 유형과 가동범위와 움직임을 확인합니다.
근전도 검사와 신경전도 검사를 통해 증상의 중증도를 확인하고 X-ray나 CT, MIR, 초음파 등의 영상검사를 통해 척골신경증후군의 문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척골신경증후군 치료
척골신경증후군 치료에는 증상을 악화시키는 원인을 제거한다면 특별한 치료 없이 완화될 수 있어 장기간 딱딱한 곳에 손목이나 팔꿈치가 압박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진통소염제 복용하거나 주사제를 통해 통증과 염증을 완화시켜 주는 약물치료를 시행할 수 있고 보호대 착용을 통해 척골신경이 압박되는 것을 줄여 줄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나 체외충격파 치료 등으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고, 위의 치료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전문가를 통해 척골신경 감압술 등과 같은 외과적인 수술을 통해 척골신경증후군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척골신경증후군 예방
척골신경증후군을 예방하는 방법은 손목과 팔꿈치를 사용하기 전에 간단한 스트레칭을 통해 가동범위를 늘려주고 관절에 무리가 가는 운동이나 딱딱한 곳에 압박을 가하는 행동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컴퓨터나 스마트폰,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에는 장시간 지속적으로 사용하지 말고 중간에 10분 정도의 휴식을 취하고 잠을 잘 때 팔을 괴고 자는 습관 등을 고치는 것이 척골신경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