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곤란을 유발하는 폐부종 원인과 증상 및 치료
- 건강,일상정보생생
- 2023. 6. 4.
검색
폐부종은 폐조직과 폐포에 어떠한 요인으로 인해 체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된 상태로 호흡에 문제를 일으키고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초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한 폐부종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폐부종 원인
폐부종 원인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원인은 심부전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 흔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심장이 혈액을 원활하게 순환시키지 못하고 폐혈관에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되어 발생하게 됩니다.
종종 만성폐쇄성폐질환이나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이 폐기능 저하와 폐조직의 손상으로 인해 폐부종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부는 폐렴과 같은 감염성 질환으로 폐조직에 염증이 발생하거나 외상 등의 이유로 폐조직에 손상이 발생하거나 특정 약물의 사용 등으로 인해 폐부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폐부종 증상
폐부종의 증상은 사람마다 발생한 원인과 중증도에 따라 다를 수 있는데 먼저 폐조직과 폐포에 비정상적으로 체액이 축적되기 때문에 호흡곤란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평소와 같은 일상생활을 하거나 휴식 중인 경우에도 별다른 이유 없이 호흡곤란을 느낄 수 있습니다.
폐조직의 부종이 발생하여 흉부에 불편함과 통증이 느껴질 수 있고 지속적으로 기침을 하게 되며 가래가 많이 끼게 되고 연분홍색과 비슷한 가래색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종종 기침을 하거나 가래를 뱉을 때 피와 함께 나오는 경우도 있으며 폐부종으로 인해 산소 공급이 원활하게 되지 않아 피로감과 쇠약감을 느끼고 호흡수와 맥박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상이 심해지면 혼란과 인지저하가 발생할 수 있고 손, 발, 얼굴 등의 신체부위에 부종이 나타날 수 있으며 적절한 폐부종 치료가 시행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폐부종 진단
폐부종을 진단할 때에는 증상이 나타난 시기와 현재 느끼는 증상, 심부전과 기저질환 등을 병력청취하며 특징적인 이상 호흡음을 확인하기 위해 청진을 시행합니다.
흉부 X-ray와 CT 검사를 통해 전반적인 상태를 확인하며 폐부종의 추가적인 진단이 필요한 경우 혈액검사와 심전도, 초음파 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폐부종 치료
폐부종 치료는 먼저 호흡곤란으로 인해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산소를 투여하여 호흡과 산소 공급을 유지시키며 증상이 심해 자발적인 호흡으로 산소 공급이 어려워 신체 내 산소포화도를 유지시키지 못한다면 기관 내 삽관이나 기계적 환기 등을 통해 개선할 수 있습니다.
폐부종을 발생시키는 심부전과 호흡기질환 등과 같은 원인을 파악하고 근본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며 혈관확장제나 이뇨제 등의 약물을 사용하게 됩니다.
염분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게 되면 신체에 체액이 증가되어 염분의 섭취를 줄여야 하며 적절한 운동과 금연, 금주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