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의 지속적인 압박으로 발생하는 욕창 원인과 증상 및 치료
- 건강,일상정보생생
- 2023. 6. 3.
검색
욕창은 신체부위가 장기간 지속적으로 압박이 되면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되지 않고 피부가 손상이 되며 나타나는데 주로 스스로 움직일 수 없어 와상생활을 하는 환자에게서 많이 발생하는 욕창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욕창 원인
욕창 원인은 신체 특정 부위가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겨 산소와 영양 공급이 감소하여 피부 조직이 손상되는데 신체 모든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뼈가 크거나 튀어나와 있는 가까운 부위에 많이 발생합니다.
주로 만성적인 질환이나 뇌질환, 신경 질환, 고령의 나이나 쇠약해져 있는 등의 스스로 체위 변경의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서 욕창이 많이 발생합니다.
종종 와상환자가 아니어도 의자에 장기간 앉아있는 사람이 신체부위가 압박받은 상태로 움직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면 욕창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며 보통 가볍게 넘어가지만 영양부족이나 땀이 나고 습한 여름철 등의 요인으로 조금 더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욕창 증상
욕창 증상은 중증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피부가 붉게 변하고 영향을 받은 부위가 민감해지며 피부가 얇아지거나 딱딱하게 굳어진 것을 느끼게 되며 탄력이 감소될 수 있습니다.
불편함과 통증을 느끼게 되며 물집이 잡히거나 피부가 벗겨지면서 염증이 생기게 되는데 이로 인해 분비물이 나오고 영향받은 피부 주변이 부어오르며 열이 날 수 있습니다.
욕창 증상이 점점 심해지면 궤양으로 진행되는데 피부뿐만 아니라 근육이나 주변 조직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며 뼈까지 보일 정도로 파일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패혈증과 같은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할 수 있습니다.
욕창 진단
욕창을 진단할 때에는 와상생활을 하는 환자나 스스로 체위를 변경할 수 없는 상태를 확인하고 영향받은 부위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특징적인 증상을 전문가가 파악하는 것으로 진단하게 됩니다.
욕창 증상이 심할 경우 추가적인 혈액검사와 균배양검사, MIR 등의 영상검사를 시행하여 중증도와 합병증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욕창 치료
욕창 치료는 중증도와 환자 상태에 따라 다르며 먼저 신체 부위가 압박받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체위를 변경해 주는 것이 중요하며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에어 매트리스나 보호패드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욕창이 발생할 경우 상처 부위를 깨끗하게 세척과 소독, 분비물을 제거하며 악화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하며 염증과 감염을 완화시키기 위해 염증억제제와 항생제가 사용될 수 있고 환자가 심한 통증을 느낀다면 상황에 따라 진통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영양이 부족한 경우에는 증상이 악화되고 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균형 잡힌 식단과 영양제를 투여할 수 있고 욕창의 부위가 광범위하고 궤양이 심한 경우에는 전문가의 판단에 따라 외과적인 수술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