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수신증 원인과 증상,치료

728x90

수신증은 신장에서 소변이 어떠한 요인으로 제대로 배출되지 않고 축적되어 압력이 높아지고 팽창되는 질환으로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지 못하고 증상이 심해진다면 신장 기능이 저하되는고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수신증의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신증
수신증

 

 

수신증 원인

수신증이 발생될 수 있는 원인에는 신장이나 요로의 결석, 협착에 의해 소변의 원활한 배출을 방해하게 되고 비뇨기계나 부인과, 소화기계 쪽의 암이 있거나 종양이 발견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습니다.

 

남성의 경우에는 전립선이 배 대해지거나 전립선 암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비중을 차지하고 임산부인 경우 자궁이 커져 요관을 누르게 되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소아에게서는 요관 협착이나 요도 판막, 신장의 기능적인 문제가 선천적인 질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고, 신장의 기능을 조절하는 신경이 손상되거나 감염으로 인해 수신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수신증 원인
수신증 원인

 

 

수신증 증상

수신증이 발생되면 등이나 옆구리의 쑤시거나 예리하고 묵직한 통증이 발생할 수 있고, 감염에 의한 원인에는 구역, 구토 나 발열, 오한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수신증이 진행되면서 소변의 양이 늘어 빈뇨 증상이 나타나고 소변을 지속적으로 배출하면서 탈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방광과 요관, 요도가 모두 폐쇄되고 심해진 경우 핍뇨나 무뇨가 발생되고 고혈압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수신증 증상
수신증 증상

 

 

수신증 진단

수신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소변의 양과 옆구리 통증, 복부 검진을 통해 현재 증상들을 병력청취를 통해 확인하고 신장 기능을 확인하기 위한 혈액검사나 소변검사가 시행될 수 있습니다.

 

흔히 신장 초음파 검사를 통해 수신증을 확인하게 되고 전립선에 문제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직장 수지 검사를 시행할 수 있고 추가적인 신장 문제와 요관, 요도 폐쇄나 감염에 대한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CT, MIR 등의 영상검사를 시행합니다.

 

 

수신증 치료
수신증 치료

 

 

수신증 치료

수신증이 발생한 원인과 나타나는 증상을 파악하고 신장에 있는 소변을 방광으로 넘어가게 하기 위해 요관에 스텐트를 사입하여 소변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 줄 수 있고, 신장에 도관을 삽입하여 소변을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습니다.

 

감염이 발생되었다면 항생제를 투여하여 증상을 완화시키고 원인에 따라 적절한 약물치료를 통해 소변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합니다.

 

수신증의 증상이 심하고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발생한 경우에는 전문가의 진단과 판단에 따라 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고,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는 경우 만성 신장 질환과 신부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원인에 따른 치료를 통해 재발 방지와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