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에 흰색 반점이 생기는 피부질환 백반증 원인과 증상 및 치료

728x90

백반증은 어떠한 요인으로 인해 특정 부위의 색소 세포의 소실이 발생하여 흰색 반점이 생기는 질환으로 전염이 되거나 생명에 위협이 되지는 않지만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받게 되어 삶의 질을 떨어트리는 백반증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백반증
백반증

 

 

백반증 원인

백반증 원인은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몇 가지 요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에 기여한다고 하는데 가족력,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병하는 비율이 높아 특정 유전자가 발병의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일부는 피부 색소를 생성하고 유지하는 멜라닌 세포가 비정상적인 면역 체계로 인해 파괴되는 자가면역 문제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멜라닌 세포의 기능 장애나 스스로 파괴되어 색소 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특정 화학 물질이나 독소, 산업 물질 등에 노출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화상이나, 부상, 외상,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요인들로 백반증 발병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백반증 원인
백반증 원인

 

 

백반증 증상

백반증 증상은 특정 부위의 피부색이 상실되는 것인데 영향을 받은 부위가 다른 부위의 피부색 보다 밝거나 흰색으로 보이며 반점처럼 나타나는데 불규칙적인 모양을 보일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백반증이 나타난 부위가 퍼질 수 있고 커지게 되는데 다른 부위의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점막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종종 피부에 영향을 받는 것 이외에도 모발의 색소 손실이 발생하여 흰색이나 회색의 머리카락이 생길 수 있으며 눈썹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멜라닌 색소의 손실로 인해 자외선으로부터 피부의 보호가 취약해져 일광 화상을 입을 수 있고 피부의 자극이나 상처가 발생하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백반증은 특별한 통증이나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지만 피부색의 변화로 인해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받게 되며 추가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백반증 증상
백반증 증상

 

 

백반증 진단

백반증을 진단할 때에는 증상을 처음 발견한 시기와 기저질환, 가족력, 유발하는 요인 등을 파악하고 일반적으로 전문가의 시진을 통해 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백반증의 명확한 진단이 어렵거나 다른 질환을 배제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 있는데 피부색의 상실 정도와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우드램프 등과 같은 피부검사용 장치를 사용하여 검진할 수 있고 혈액검사나 피부 생검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백반증 치료
백반증 치료

 

 

백반증 치료

백반증 치료는 국소 스테로이드 연고나 주사제를 사용하여 피부를 다시 착색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자외선 광선에 민감하게 만드는 소랄렌이라는 약물을 사용한 후 자외선 A광선에 노출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영향받은 부위에 자외선 B광선을 노출시키는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엑시머 레이저를 통해 특정 부위에 집중적으로 UVB광선을 사용하여 백반증 치료가 시행될 수 있고 위와 같은 치료방법들이 반응하지 않는 경우 전문가의 판단에 따라 피부 이식이나 흡입수포이식, 멜라닌 세포이식과 같은 외과적 수술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백반증 증상이 악화되지 않게 자외선과 외상,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으며 비타민과 영양소가 풍부한 음식들을 섭취하도록 식습관 개선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