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냄새와 인후통을 유발하는 편도결석이란? 원인과 증상 및 치료

728x90

편도결석은 편도선에 있는 틈새나 작은 구멍에 이물질이 축적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다른 질환에 비해 심각한 증상이나 생명에 위협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취나 통증 등이 발생하여 일상생활에 불편감을 주는 편도결석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편도결석
편도결석

 

 

편도결석 원인

편도결석 원인은 편도에 편도와 라는 작은 구멍들과 틈새가 있는데 그 부위에 음식물 찌꺼기나 박테리아, 세균, 점액 등과 같은 다양한 물질들이 구멍에 들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축적되어 경화가 되면서 발생하게 됩니다.

 

편도염을 앓고 난 후 지속적으로 재발하여 만성 편도염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 많이 발생하며 이외에도 청결하지 못한 구강 위생이나 음식 섭취 후에 양치질을 하지 않거나 만성 부비동염, 콧물이 뒤로 자주 넘어가는 후비루, 과도하게 점액이 생성되는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흡연이나 음주, 설탕이 많이 포함된 단음식을 자주 섭취 하는 생활식습관에 따라 편도결석이 발생하는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편도결석 원인
편도결석 원인

 

 

편도결석 증상

편도결석의 증상은 사람마다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심각한 증상을 나타나는 질환은 아니지만 불편감을 주게 되는데 주로 황화합물 형성으로 인해 입에서 악취가 나기 시작하고 지속적으로 불쾌감을 주게 되어 불편함을 느끼게 됩니다.

 

편도결석이 생성되어 목 부위가 무엇에 걸린 느낌이나 칼칼한 느낌을 주게 될 수 있고 자극을 주게 되어 인후통에 발생하게 되며 결석이 크거나 식도로 넘어가는 부위에 있는 경우 삼키는 행동을 하는 것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귀 쪽과 가깝게 편도결석이 발생하게 되면 귀의 불편감이나 통증이 발생하고 지속적인 자극으로 인해 기침이 나오거나 붓기가 지속되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편도결석 증상
편도결석 증상

 

 

편도결석 진단

편도결석을 진단할 때에는 간단하게 전문가의 구강검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편도부위의 양옆을 보게 되면 희거나 황색, 노란색을 띠는 알갱이가 발견되어 진단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구강검진만으로 진단하는 경우가 많은데 경우에 따라서 편도염이 동반되어 심하거나 편도결석의 추가적인 진단이 필요한 경우 X-ray나 CT 등과 같은 영상검사가 고려될 수 있습니다.

 

 

편도결석 치료
편도결석 치료

 

 

편도결석 치료

편도결석 치료는 결석이 스스로 나오거나 편도염이 동반되지 않은 상황이 있어 위생관리와 예방을 통해 해결될 수 있는데 음식물을 섭취한 후에 적극적으로 양치질을 하고 칫솔질로 해결되지 않은 이물질과 세균을 제거하기 위해 치실과 가글을 사용하며 충분한 수분섭취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편도결석이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눈에 보이고 제거가 가능한 상황이 있다면 편도선이 손상되지 않는 선에서 깨끗한 면봉이나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제거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결석의 생성과 증상이 발현된다면 전문가를 통해 해결해야 하며 레이저나 약물을 통해 편도와의 구멍을 막는 시술이 시행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도 편도결석이 해결되지 않고 만성 편도염을 앓고 있다면 환자와 전문가의 판단에 따라 외과적 수술을 통해 편도선 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