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관 출혈로 인한 흑색변의 원인과 나타나는 증상
- 건강,일상정보생생
- 2023. 4. 28.
검색
혈변은 보통 하부위장관계 질환의 출혈로 인해 대변을 보게 되면 피가 대변에 묻어 나오거나 소화가 되어 나오게 되는데 흑색변은 상부위장관계 출혈로 인해 출혈된 혈액이 위와 장에 머물러 있다가 나오기 때문에 춘장색과 비슷한 변을 보게 됩니다. 흑색변을 유발하는 원인과 나타나는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흑색변을 보게 되는 원인
흑색변이 발생하는 원인은 주로 상부 위장관계 질환의 출혈로 인해 나타나게 되는데 위벽의 염증이나 위궤양, 식도 정맥이 파열되어 출혈이 발생하거나 식도염, 식도와 위의 암이 진행된 경우와 같은 질환 등이 가장 큰 원인이 됩니다.
질환으로 인한 것이 아니어도 선지와 같은 음식과 철분제의 섭취와 특정약물 복용을 통해 검은색의 대변을 보는 경우가 종종 생기게 되고 하부위장관계 출혈이 바로 대변으로 나오지 않고 장에 머물러 나오는 경우에도 흑색변이 발견될 수 있습니다.
흑색변을 보게 되면 나타나는 증상
위장관계 출혈로 인한 흑색변을 보게 된다면 증상이 심하지 않거나 경미 할 때에는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대변에 피가 살짝 묻어 나오는 정도 일 수 있으나 출혈량이 많아지는 경우에는 춘장색과 같다는 표현을 할 정도의 검은색 변을 보게 되고 출혈로 인한 저혈압과 쇼크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복부에 가스가 차고 팽만되는 느낌 들고 얼굴이 창백해지며 피부가 축축하고 어지럼증 등과 같은 증상들이 동반되며 지속적인 출혈로 인하여 실신하는 경우가 발생됩니다.
변을 보아도 개운하다는 느낌이 들지 않고 지속적으로 복통이 발생하며 점차 변이 묽어지고 설사를 하게 되는데 변을 보는 횟수가 많아지면서 변이 아닌 출혈된 피만 나올 수 있습니다.
흑색변을 유발하는 원인검사
흑색변의 원인을 찾기 위해서는 처음 증상이 나타난 시기와 변의 색깔, 변을 보는 횟수, 출혈량, 지속적인 복통이나 설사, 기저질환 등이 있는지 전문가의 병력청취를 통해 확인합니다.
흑색변을 확인하기 위해서 직장수지검사를 통해 출혈이 있는지와 색깔을 확인할 수 있고 출혈이 발생하는 정확한 원인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상부, 하부 위장관계 검사를 진행하는데 X-ray나 CT, MIR, 초음파 검사 등의 영상검사를 통해 출혈 부위를 찾게 됩니다.
흑색변 치료
흑색변 치료에는 위장관 출혈로 인한 신체 내 혈액을 보충하기 위해 수액을 투여할 수 있고 출혈량이 많아 혈액 손실이 크다면 수혈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출혈을 막기 위해서는 위장관계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치료해야 하고 유발하는 원인과 증상에 따라 약물치료와 외과적인 수술을 통해 치료를 해야 합니다.
위장관계 질환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면 최근 섭취하였던 음식이나 영양제, 약물 등에서 흑색변을 유발하는 것이 있는지 확인하고 전문가와 상담을 해야 합니다.